Badinerie

  평소 맥북을 사용할 때는 컨텐츠 소비를 주로 했다. 그래서 트랙패드만 사용을 해도 편하게 노트북 사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스토어 아이템 소싱, 아이템 사진 편집, 블로그 컨텐츠 작성 등을 하게 되면서 마우스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자료를 조사할 때, 사진을 편집할 때는 커서를 정밀하게 움직이거나 빠르게 움직여야 할 필요가 있었다. 트랙패드를 사용하면서 위와 같은 작업에 한계를 느꼈다. 한 번에 되지 않아 두세번씩 반복하는 일이 잦았기 때문이었다.

 

  필자는 MX MASTER 마우스 시리즈를 처음부터 사용했었다. MX MASTER 1과 2는 하나씩 구매를 했었다. 이 때는 이 마우스가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는지 확신을 가질 수 없어서 중고 구입을 해 사용했었다. 그러나 다크필드 센서, 무한휠, 다양한 추가버튼은 다른 마우스로의 전환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요소였다. 

 

 

 1300k에서 할인 이벤트를 하기에 바로 주문을 했다. 기간 한정으로 로지텍 카드형 USB를 제공한다고 되어있었다. 필요는 없었지만 가격비교를 한 결과 가장 저렴한 사이트였기에 1300k에서 주문을 했다.

 

 

 

 

 

 MX Master for Mac 제품의 상자. 기존 MX Master 3은 검정색 배경의 박스였지만 Mac 버전의 경우에는 배경의 흰색으로 디자인되었다. 

 

 

 

 

 

 사은품으로 받은 로지텍 카드형 USB이다. 별로 쓸 일은 없을것 같다. 조만간 버리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USB는 로지텍에서 제조를 하지 않았다. 로지텍 로고만 새겨서 사은품으로 제공하는 듯하다.

 

 

 

 

 

 씰링을 칼로 자르고 개봉을 했다. 박스의 뚜껑 부분 3면이 모두 날개 형태로 제작되어 열기가 어려웠다.

 

 

 

 

 MX Master 3의 내부 박스와 동일한 색상의 패키징이 되어 있다.

 

 

 

 

 

 마우스를 꺼냈다. 아래쪽에는 USB-C타입 케이블이 동봉되어 있다.

 

 

 

 

 

 

 

 

 마우스 아랫면의 스티커를 제거하면 전원버튼, 셀렉트 버튼이 있다.

 

 

 

 MX Master 3 for Mac이라고 각인되어있는 것 외에는 일반 3시리즈와 동일하다. 유니파잉 수신기를 패키지에서 제외하고 색상만 스페이스 그레이 색상으로 바꾸어 출시한 것 같다.

 

 

 

 

 전원버튼 상단에 유니파잉, 블루투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표시가 되어있다.

 

 전원버튼을 위로 올리면 전원이 켜진다. 아래쪽의 버튼으로 1, 2, 3번째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숫자가 깜빡거리면 연결 대상을 검색중인 것이다. 컴퓨터 화면에서 블루투스 검색을 해보면 마우스가 검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맨 아래에 MX Master 3 Mac이라는 마우스가 검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연결' 버튼을 클릭해 마우스를 연결해주면 된다.

 

 

 

 3~4일간 사용해본 결과 유니파잉 수신기를 쓰는것이 훨씬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단 마우스를 이동할 때 간헐적으로 끊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부정확한 이동이 생기는 것이 보였다. 블루투스 장비를 키보드, 트랙패드까지 사용하다 보니 간섭이 많이 생기는 것 같았다. 블루투스 기기를 많이 사용할 경우 유니파잉 수신기를 사용하면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정확성과 마우스 포인터 이동 시 자연스러움(부드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트랙패드로 사진 보정, 크롭 등을 하기가 너무 힘들어서 구입한 마우스인데 뚝뚝 끊기면서 이동하니 트랙패드를 쓰는것만 못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마우스가 있더라도 꽤나 답답한 경험을 했다.

 

 결국 집에서 굴러다니던 유니파잉 수신기를 가져와 연결했다. 유니파잉 수신기를 통해 연결했더니 유선 마우스와 같은 정확함을 다시 찾을 수 있었다. 로지텍에서 유니파잉 수신기를 제외하고 왜 이러한 패키지로 출시했는지는 의문이다. 일반 버전보다 약간 더 검은색인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유니파잉 수신기가 추가된 MX Master 3을 구입하는 것을 추천한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